싱가폴에 있는 Grab이라는 동남아 스타트업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해외 이직을 준비했던 과정을 남깁니다.

지원하기

처음부터 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한 것은 아니었다. 이전 팀은 급작스럽게 해체되어 어수선했고 새 팀 문화에는 적응이 쉽지 않던 기간을 거쳐 결국엔 자리를 잡고 좋은 동료들과 재밌게 개발하며 성장하고 있었다. 다만 언젠가는 해외에서 살고 싶은 생각이 있었고, 막연하게나마 1 ~ 2년 내에 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어느날 “Hello from GRAB” 이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받았다. Grab의 리쿠르터가 보낸 메일이었다. 싱가폴 본사에서 iOS 개발자를 뽑고 있는데 이력서를 보내줄 수 있냐는 메일이었다. 리쿠르터가 첨부해준 회사 소개 자료와 개발 블로그 등을 보고 나서 꽤 좋은 인상을 가지게 되었다. 몇 일 뒤에는 친구가 운영하는 뉴스 채널에서 Grab 관련 기사를 재밌게 읽었다. 하지만 이력서를 보낸 뒤에는 더이상 소식이 없어 서서히 잊혀졌다.

그러던 어느날 페이스북을 돌아다니다가 해외에 계신 한국 개발자님이 모바일 개발자 팀원을 구하고 있다는 포스팅을 보았고 그 회사가 Grab이었다. 단순 노출 효과 때문이었을까. 별다른 고민이나 뜸을 들이지 않고 바로 그 분께 메시지를 보냈고, 일면식은 없었지만 흔쾌히 내부 추천으로 지원서를 접수해주셨다. 그랬더니 바로 그 다음날 담당 리쿠르터로부터 메일을 받았고 면접 날짜를 잡았다.

최초에 “Hello from GRAB”이라는 제목으로 콜드메일을 보낸 리쿠르터는 아마도 링크드인을 통해서 내 프로필을 봤을 것이다. 그 메일 덕분에 Grab이라는 회사를 알게 되었다. 만약에 미리 Grab에 대해 몰랐다면 페이스북 포스팅을 그냥 지나쳤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나에게 먼저 연락을 한 리쿠르터를 통해 이력서를 냈음에도 답장이 안왔지만, 내부 추천을 받으니 하루 만에 면접이 잡혔다. 링크드인과 내부 추천(“레퍼럴”). 이 두 개가 지원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 같다.

p.s. 최종 합격한 후에야 콜드메일을 보냈던 리쿠르터한테서 면접 볼 수 있냐고 답장이 왔다.

기술 면접

본격적인 기술 면접 전에 HR 담당자와 30분 정도의 폰스크리닝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아마 내부 추천이라서 그 단계는 건너뛴 것 같다.

기술 면접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1시간, iOS 관련 면접 1시간 각각 다른 면접관이랑 진행됐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면접은 단답형 질문으로 시작했다. 기억에 남는 질문은 없지만 무난했다. 그리고 나서 라이브 코딩을 했다. 링크드 리스트를 만드는 문제였다. 면접관이 알려준 사이트에 접속해서 코딩하는 것이었는데, 자동완성이 없었기 때문에 구글 닥스에 코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이었다. insert, append, pop, remove 등등 링크드 리스트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만들었다. 한번에 매끄럽게 만들진 못했다. 생각하느라 멈추기도 하고, 면접관이 엣지 케이스를 지적해주면 고치기도 했다. 어찌저찌 완성하고 나서 그 다음 문제는 이 링크드 리스트를 가지고 소팅을 구현하라는 것이었다. 배열로 소팅하는 법은 알았지만 링크드 리스트로 소팅하는 것은 생소했다. 앞이 캄캄했지만 조금씩 해결해봐야 했다. 먼저 소팅 알고리즘을 선택해야 했다. 알고리즘을 잘못 선택하면 많은 시간을 허비할 것 같아서 신중하게 고민했다. 배열이 가지고 있는 random access 속성에 의존이 심한 소팅은 쓸 수 없을거라 판단했고 그래서 머지 소트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약 한시간 동안 열심히 했지만 결국 면접이 끝날때까지 제대로 돌아가는 알고리즘을 완성하지 못했다. 다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고 계속해서 힌트를 얻어내려고 했다. 그래서였는지 면접관도 면접 시간을 15분 정도 초과하면서까지 도와주었다.

바로 이어서 두번째 면접은 iOS 관련 면접이었는데, 사실상 스위프트 면접이었다. 특히 reference type, value type을 구분하고 비교하는 문제가 많았고, 메모리 관련 어려운 질문도 있었다. 대답을 바로 한 질문도 있고, 힌트를 받고 나서 답과 근접하게 간 것도 있고, 아예 몰랐던 부분은 그냥 모른다고 했다. 몰라도 괜찮다고(?) 한 것도 있었다. 단답형 질문이 끝나고 나서 라이브코딩을 했다. 자체 NotificationCenter를 만드는 것이었다. addObserver, removeObserver, post 해주는 로직을 구현했다. 인상 깊었던 것은 단번에 완벽한 구조로 만들기보다 일단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어놓고 조금씩 개선해나가는 방식으로 풀도록 유도했다는 점이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옵저버를 하나만 등록할 수 있게, 그 다음에는 여러 개를 등록할 수 있게, 그 다음에는 remove도 할 수 있게 만드는 식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왠지 모르게 익숙했는데 나중에서야 내가 회사 프로젝트에서 이런 클래스를 이미 만든 적이 있었다는걸 깨달았다.

두 명의 면접관 모두 친절했고 도움을 많이 줬다. 질문도 매우 좋아서 언젠가 내가 면접관이 되면 물어봐야겠다 싶었던 것들도 많았다. 기술적인 내공도 많아 보였고 면접 스킬도 좋은 사람들이어서 회사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게 됐다.

매니저 면접

기술 면접을 통과하면 최종 매니저 면접이다. 매니저 면접은 기술 평가 및 culture fit 평가를 하고 팀 소개를 들을 수 있다. 면접 질문은 과거 경험부터 기술적인 질문부터 매우 다양했다.

  • 지금 개발하고 있는 앱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어떤 부분을 개발하고 있나
  • 좋은 매니저는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 최근에 핫픽스를 냈던 경험이 있는가
  • 코드 리뷰는 어떻게 하는가
  • 가장 해결하기 어려웠던 문제는 뭐였나
  • 버그나 이슈가 들어오면 어떻게 해결하는가
  • MVVM(혹은 다른 디자인 패턴)에 대해 알고 있는가
  • 초과 근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아마도 초과근무가 잦은 팀이어서 물어봤나보다ㅋ)
  • (코드 snippet을 보여주고) 이 클래스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어떻게 작성할지 말로 설명해봐라

등등 광범위한 질문을 받았다. 그런데 알고보니 사내 SDK를 만드는 팀이었고, 입사한다면 내가 팀 내 유일한 iOS 개발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면접 후에 리쿠르터에게 메일을 보냈다. 이 팀도 좋은 기회가 될 것 같고 매니저도 좋은 사람 같지만 나는 앱 개발을 선호하기 때문에 다른 팀으로 배정받을 수 있을지 물어봤다. 그래서 새로운 매니저와 다시 면접을 봤다. 두번째 매니저 면접을 본 다음날 합격 메일을 받고 오퍼를 기다렸다. 그런데 이때부터 회사 전체가 채용이 동결되었고, 결국 해당 팀은 TO가 풀리지 않아 또 다른 팀의 매니저한테 연락을 받아 무려 세 번째 최종 면접을 보고 드디어 오퍼를 받게 되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경험은 두번째 매니저 면접 때 였다. 내 블로그를 봤다면서, 한글로 쓰여있어서 이해할 순 없었지만 그 중 하나가 SOLID 원칙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 것 같았는데 이 자리에서 SOLID 원칙에 대해 설명해달라고 했다. 아는 대로 열심히 설명을 했다. 설명을 다 들은 매니저는 각 원칙을 따르는 구조나 위배하는 예시를 iOS 프레임워크와 연결지어 설명을 하는 것은 처음 들어봤다면서 놀라워했다. 내 블로그 글은 멘토님이 사내 게시판에 올리신 글을 읽고 내가 이해한대로 재정리한 내용이었다. (멘토님 글 보러가기)

매니저 면접을 세번이나 보게 해서 어이도 없고 은근히 피말렸지만, 입사하면 나의 매니저가 될 사람을 미리 만나보고 오래 얘기를 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좋았던 것 같다. 팀의 분위기나 업무 방식에 대해 충분히 질문할 수 있었고 어떤 리더인지 어렴풋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런데 지난주에 입사하고 보니 팀이 또 바뀌었다. 회사가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어서 그런지 조직 변동도 잦은거 같다.

레퍼런스 체크

최종 면접을 통과하고 나면 레퍼런스 체크를 한다. 특정 웹서비스를 통해서 하게 되는데 가장 먼저 ‘셀프 평가’를 한다. 나의 업무 스타일에 대해 인성 평가 스타일의 문항 수십 개를 여섯 가지 척도로 체크 한다. 그러고 나의 레퍼런스가 되어줄 사람들의 인적 사항을 입력하면 그 사람들에게도 이메일로 비슷한 설문지가 간다. 객관식과 서술형이 섞여 있다. 안내사항에 따르면 무조건 다 뛰어나고 잘한다고 응답하는 것보다는 내가 제출한 응답과 얼마나 비슷하고 일관성 있는지를 본다고 한다.

보상 체계

해외 기업의 보상 체계는 국내 기업과 다르다. 인센티브는 성과 평가에 따라 연봉의 퍼센트로 정해지고, 입사시 1회성으로 지급되는 사인온 보너스가 있다. 기본급은 면접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개발자 역할 레벨이 기준이 된다. 레벨은 회사마다 다른데 유명한 미국 IT 회사의 레벨은 levels.fyi라는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Grab은 이 사이트에는 없지만 블라인드에서 레벨과 연봉에 대한 정보를 띄엄띄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RSU라는 회사 주식을 보통 4년 동안 나눠서 받게 된다. 스톡 옵션은 행사 가격으로 내 돈을 주고 주식을 사는 개념이라면 RSU는 바로 주식을 받는 것이다. 그래서 스톡 옵션이나 RSU를 받으면 회사가 성장할수록 연봉이 오르는 효과가 생긴다. 다만 Grab처럼 비상장 회사의 RSU는 유동성이 매우 낮고, 심지어 현금 가치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걸 감안해야 한다. 검색해본 바로는 레벨이 올라갈수록 RSU를 몇 배로 많이 받게 되는 구조인 것 같다. 그리고 Grab은 1회성 이주 비용도 지급한다.

기술 면접 팁

기술 면접에서 중요한 것은 면접관이랑 끊임없이 대화하는 것 같다. 구글의 코딩 인터뷰 가이드를 보면 계속 자신의 생각을 말로 내뱉으라고 한다. 혼자 머리 속에서 끙끙대지 말고, 내가 뭘 하려고 하는지 면접관에게 말하고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그래서 나도 면접에서 질문을 받으면 항상 아래 3가지를 꼭 말하면서 풀어갔다. (단답형 질문일때 말고)

(1) 내가 문제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이해한 바가 맞는지, 특정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등 조금이라도 애매한 부분이 있으면 꼭 확인했다. 애매하지 않아도 괜히 한번 더 물어봤다. 면접관한테서 최대한 말을 끌어내면 문제에 대한 힌트를 얻어낼 확률이 높아진다.

(2) 이해한 바를 토대로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지 대략적인 설명하고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한 것 같다. 틀린 접근법으로 시간을 허비하느니 미리 면접관의 반응을 살피는 것이다. 가만히 있거나 끄덕이면 그대로 했고, 만약 잘못된 방법이라면 면접관이 개입했다.

(3) 고민을 하다가 막힐 때에는 나의 의도가 뭔지, 그래서 이러이러한걸 해봤는데 왜 안되고 있는지 등등을 말했다. 이 부분은 약간 혼잣말에 가깝다. 이런 말을 할때는 딱히 면접관의 응답을 바라지도 않는다. 그리고 별 응답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혼잣말로라도 내 진행 상황을 말하면 내 생각도 정리가 잘됐고, 또 면접관도 끼어들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

면접에서 최악의 상황은 침묵이 15분 이상 지속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링크드 리스트로 머지 소트를 짤 때 한동안 너무 진척이 없자 계속 침묵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 ‘나 배열로는 머지 소트 짤 줄 아는데 그거라도 해보면 안되냐’고 했고 그러라고 했다. 그리고 나서 다시 원래 문제로 돌아오니 면접관이 내가 짠 코드를 가지고 또 힌트를 줘서 조금이라도 만회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싱가폴 회사 vs 국내 회사 면접 #키워드

Grab 한 곳만 면접을 본 것은 아니었다. 우연히 비슷한 기간에 링크드인과 원티드로 국내 기업 면접 제안이 와서 수락했고, 싱가폴 소재 회사에도 추가적으로 지원했다. 이 중 하나는 최근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한 딜리버리히어로의 자회사 푸드판다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스타트업 세 군데, 싱가폴 스타트업 세 군데랑 면접을 봤는데, 싱가폴과 국내 기업의 면접 방식과 질문의 방향성에서 차이가 느껴졌다. 우선 비기술적인 질문의 차이부터 보면 싱가폴 기업(폰스크리닝을 하지 않은 Grab을 제외하고)은 HR 담당자와의 첫 폰스크리닝 때 희망 연봉이나 현재 연봉을 물어봤다. 이직이 처음이다 보니 갑자기 훅 들어와서 당황하기도 했지만 준비해놓은 답안으로 잘 회피했다. 한편 국내 기업은 세 군데 모두 면접 중에 “왜 이직하려고 하는지”, “왜 지금 팀을 떠나려고 하는지”를 의외로 집요하게 물어봤다. 적당히 대답하여 넘겼지만 이직하려는 의도가 있다는걸 내가 설득해야하는 듯한 분위기여서 현재 회사나 상황에 대한 불만을 말해야할 것 같은 압박이 있었고, 면접을 보는 나의 진정성을 의심받는 것 같아서 마음이 불편했다. (심지어 회사가 먼저 면접을 제안한 상황이었음에도..)

기술 면접에서도 다른 점이 있었다. 국내는 iOS 지식과 경험을 묻는 질문이 주를 이뤘다. UIKit, Rx, 스토리보드 활용, 어떤 오픈소스를 써봤는지 등등. 반면 싱가폴 회사들은 테스트 코드 작성, 의존성 주입, 디버깅 방식 등에 대해 물어봤다. 다들 1 ~ 2주 마다 앱을 정기적으로 배포하는 프로세스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테스트 커버리지 확보와 빌드/배포 시간 단축이 중요한 임무인 것처럼 느껴졌다. 총평을 하자면 국내는 iOS 앱 개발을 얼만큼 해봤는지에 초점이 있었고 싱가폴은 아키텍처, 테스트 코드 작성에 얼만큼의 경험이 있는지를 궁금해하는 것 같았다. 그 외 알고리즘 라이브 코딩, 행동 질문(behavioral)과 과거 사례를 물어보는 경험 질문은 비슷했다.

🇰🇷: #이직사유 #iOS개발
🇸🇬: #희망연봉 #자동화 #의존성주입 #테스트

번외 1) 국내 한 곳과 싱가폴 한 곳에서는 개발 과제를 주기도 했다. 3일 ~ 7일 정도 주고 회사가 제공해주는 API 몇 개를 사용해서 간단한 앱을 만드는 것이었는데 정말 재밌었다. 프레임워크로 모듈화도 하고 유닛/UI 테스트도 만들어보고, 평소에 해보고 싶었던 것들 이것저것 시도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그 후 면접관들과 과제에 대해서 얘기해보는 시간은 면접이라기보다 팀원들과 회고하는 느낌이 들어서 매우 좋았다. 그 중 하나는 채용 프로세스 종료 후에 좀 더 정리하고 보완해서 깃헙에 올려 다른 개발자들의 피드백도 받아봤다.

번외 2) 기억에 남는 질문 하나는 내가 회사에서 개발하는 앱의 앱스토어 별점을 아느냐는 것이었다. 웹툰의 별점은 4.6이라고 하니 놀라면서 자기네 앱은 2점대라서 이걸 올리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ㅎㅎ. 개발자가 자신이 개발하는 앱의 퀄리티와 유저들의 반응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참신한 질문이라고 생각이 들었다.